
• 아로마 허브 추출물 _ 아로마 허브 추출성분과 효능
로즈마리 피부세포재생/집중력 향상/유.수분 밸런스 유지
늘푸른 잎과 특유의 향으로 사랑받는 식재료이며 지중해 연안이 원산이다.
민트와 같은 계열에 속하며 허브를 대표하는 식재료 중 하나다. 로즈메리’라는 이름은 라틴어로 ‘바다(marinus)의 이슬(ros)’이란 뜻의 rosmarinus에서 왔다.
꽃은 겨울과 봄에 피며 색깔은 흰색, 분홍색, 자주색, 푸른색 등이 있다. 허브로 많이 쓰고 가뭄에 잘 견뎌서 지중해성 기후가 나타나는 지역에서 경작용 작물로 심는다.
정원에서 관상용으로도 심는다.로즈메리는 쉽게 잎이 헝클어지거나 가지가 부러지지 않아서 토피어리용으로도 많이 쓰인다. 작은 화분에서 키울 경우 햇빛을 보게 하고 습기찬 곳으로는 보내지 않는 것이 좋다.
라벤더 신경안정/보습
꿀풀과의 상록 여러해살이풀로,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다. 허브차, 아로마테라피, 관상용으로 이용된다. 봄에 보라색이나 흰색 또는 분홍색의 꽃을 핀다. 색으로서 라벤더색이라 할 때는 연보라색을 의미한다.라벤더에는 진통, 정신 안정, 방충, 살균 등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속명의 Lavandula는 “씻다”라는 뜻의 라틴어에서 유래하는데, 이것은 로마 사람들이 목욕이나 세탁시에 라벤더를 물에 넣는 것을 좋아했기 때문이다.
재스민 보습/탄력/여드름피부진정/염증치료/신경안정
이 속(屬)의 꽃에서 채취한 향료명을 가리키기도 한다. 상록관목이며, 열대와 아열대에 200여 종이 분포하고 한국에 자생종은 없으나 영춘화(迎春花:J. nudiflorum)가 서울 근처에서 월동한다. 소형화(素馨花:J. officinale var. grandiflorum)는 히말라야 원산이며 흰색 꽃이 피고 향료를 채취한다. 청향등(淸香藤:J. paniculatum)으로 재스민차를 만든다.
일랑일랑 피부정화작용/피지조절
말레이어로 ‘꽃 중의 꽃’을 뜻하는 아랑아랑(Alang-Alang)에서 유래되었다. 130년 전부터 꽃에서 정유를 추출하였고, 1878년 유럽에서 처음 전세계에 소개하였다. 정유는 소독·진정·최음·항우울·혈압강하·혈액순환에 효능을 가지고 있어 호르몬 분비의 평형을 유지시켜 주고, 생식기관의 여러 장애에 도움을 준다.
티트리 피부세포 재생/피부정화작용/항균효과
원산지는 오스트레일리아로 뉴사우스웨일스주에서 자생한다. 높이 약 6m까지 자란다. 늪지대에서 자라며 생명력이 강해서 줄기를 잘라내도 잘 자란다. 공기를 상쾌하게 정화하는 역할을 하는 허브의 한 종류이다.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들은 이미 오래 전부터 티트리 나무의 잎으로 베인 상처에 생긴 감염증을 치료해왔다. 제2차 세계대전 중에는 피부창상의 치료제로서 열대지방의 군인에게 지급되었다. 외과와 치과에서 사용되며 살균소독제·탈취제·비누·공기정화제에도 넣어 사용한다. 이밖에도 각종 감염증, 감기, 입냄새, 무좀, 비듬 등에도 효과가 있다. 그러나 자극성이 강하기 때문에 원액을 희석시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카모마일 염증치유/통증완화
카모마일의 종류는 보통 저먼 캐모마일(German Chamomile : Matricaria recutica)과 로만 캐모마일(Roman Chamomile : Anthemis nobilis), 보데골드 캐모마일(Bodegold Chamomile), 다이어스 캐모마일(Dyer’s Chamomile) 등이 있는데, 주로 저먼 캐모마일과 로만 캐모마일이 알려져?있다. 레몬 미백효과/피지조절 비타민 C의 효능에 대해선 대부분 알고 계시듯이 피부탄력, 기미 & 주근깨 예방(멜라닌 색소 억제 효과), 피부세포 형성 촉진 등으로 피부 미용에도 좋고 노화방지도 해준다. 레몬은 구연산도 많아서 피로회복에도 좋고 소화를 도와주고 더위에 잃어버린 식욕도 되찾아 준다.
민트 피지조절/상쾌한 청량감
방부, 살균, 소염, 진통, 해열, 향균효과가 있으며 신경안정, 감기예방, 식후소화효과에 좋다. 위나 장의 정장 효과도 알려져 있어 식용, 약용으로 많이 쓰인다. 유칼립투스 호흡기기능 강화/면역력 강화(피로회복) 주성분은 시네올이며 비누·리큐어·향료·의약용 등으로 쓰이는데, 특히 방부제·거담제·방충제·구강제·진해제·소독제 등으로 쓰인다. 최근에는 알레르기비염에 효험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유칼리유를 코 점막 안에 분사하는 향기요법이 연구개발 중이다.
로즈제라늄 긴장해소/피로회복/방충효과
여드름, 타박상, 화상, 상처, 피부염, 습진, 치질, 머릿이, 버짐, 궤양, 울혈, 부종, 임후염, PMS, 갱년기증상, 스트레스, 신경토에 좋다. 카렌듈라 항암효과 카렌듈라는 재생효과와 상처치유 효과가 뛰어나며, 노화방지 기능과 항산화작용이 있는 비타민E가 함유되어있다. 오렌지빛의 꽃으로 플라보노이드, 사포닌 성분이 들어있어 항균 항바이러스 효과가 크다고 알려져 있다. 민감성피부와 아토피에 좋다.
네놀리 보습/노화지연/주름개선 강심작용, 살균, 세포성장촉진, 소독, 소화촉진, 피부연화작용과 우울증에 효과적이다. 네놀리는 릴렉스 시키는 힘이 강하다. 네놀리오일은 상당한 최면성이 있어 행복감을 일으켜 만성적 우울증, 불안, 스트레스 등을 감소시킨다. 갱년기 증상인 흥분, 기타 이상증상에도 도움이 된다. 피부의 탄련성을 개선시키므로 건조한 피부나 모세혈관이 파괴된 피부에 효과적이다.

• 한국의 자생 약초 추출물 _ 한국의 자생하는 약초들의 추출성분과 효능
인삼 원기 회복/노화방지 및 지연/면역증강/멜라닌색소 생성 억제
한방에서 인정되는 인삼의 약효를 요약하면, 강장·강심·건위보정·진정약으로 널리 상용되고, 위장기능 쇠약에 의한 신진대사기능의 저하에 진흥약으로 사용되며, 병약자의 위부정체감·소화불량·구토·흉통·식욕부진 등에도 응용된다.
영지 강심/강장/노화지연/항암효과/해독작용
영지에는 에르고스테롤 0.3~0.4%, 진균분해효소, 산성 단백분해효소, 다당류,
유기산, 수지, 쿠마린, 만니톨, 알칼로이드 등이 있다. 간의 해독 기능을 높이며 지방축적을 줄이고 간세포의 재생을 촉진한다. 또한 열물의 빌리루빈 함량을 높인다.
화학약품, 방사선물질, 항생소, 오랜 기간의 병으로 인한 백혈구감소증 환자 52명에게 배양균사의 알코올 추출액을 하루 3번씩 10~20일 동안 먹였을 때 44명에게서 효과가 있었다.
황기 면역증가/노화지연/이뇨작용/강장/각종 비타민 함유
다당류, 아미노산, 단백질, 비타민 P, 미량의 광물질 등이 확인되었다.
① 신체의 면역증강 작용이 있어서 망상 내피 세포의 탐식 능력을 증강시키고,
② 신체의 대사 기능을 활성화시키므로 혈청과 간장 내의 단백질 대사를 촉진시킨다.
③ 정상인에게서는 현저한 이뇨 작용을 나타낸다.
④ 심장의 수축력을 증강시키므로 쇠약한 심장에 대하여 강심 작용을 높이며,
⑤ 약물 달인 물, 물에 우린 액 등은 혈관 확장 작용을 하여 혈압을 내린다.
⑥ 기타 간 보호 작용과 면역 기능 증강 효과가 있다.
당귀 보혈기능/혈액순환 원활/자궁수축/탈모예방
① 심혈(心血)과 간혈(肝血)이 부족해서 일어나는 안면창백, 입술과 손톱에 광채가 없고 머리와 눈이 어지러우면서 가슴이 뛰는 증상에 보혈 작용을 한다.
② 부인이 혈허(血虛)하고 어혈(瘀血)이 있어서 생리가 불규칙하고 생리통 또는 생리가 없는 증상에 쓰인다.
③ 여자의 생리 조절 작용이 뛰어나고 산전, 산후 질환에 통용된다.
④ 혈액 대사를 촉진시키므로 어혈과 혈액순환 장애로 인한 마비 증상을 풀어주고 통증도 완화시킨다.
⑤ 부기를 빼 주고 피부가 헐어 생긴 발진을 다스리므로 외과에도 활용된다.
⑥ 혈허로 인해서 나타나는 두통에 쓰고,
⑦ 변비에도 유효하다.
산수유 생리기능강화/이뇨작용
열매에는 결정성 유기산(녹는점 245℃), 몰식자산, 사과산, 포도산 등이 있다. 열매껍질에는 이리도이드 배당체인 모르로니시드, 로가닌 등이 있다.
구기자 항균효과/항암효과/면역증진/모공축소/노화지연
구기자에는 carotene 3.39mg%, vitamin B1 0.23mg, riboflavine 0.33mg%, nicotinic acid 1.7mg%, ascorbic acid 3mg%가 함유되어 있다.
또한 β-sitosterol, linoleic acid도 분리되었다.
일본산 구기자에는 zeaxanthin, betaine과 일종의 vitamin B1 억제물이 함유되어 있고 과피에는 physalienol이 함유되어 있다.
백작약 진통완화/이뇨작용
전초와 꽃에 플라보노이드, 뿌리에는 흔적의 알칼로이드와 쿠마린, 아스파라긴, 약 0.14%의 정유, 5%의 안식향산, 살리실산메틸에스테르, 살리실산, 스테롤, 탄닌질, 알코올, 수지가 있다. ?잎에는 170mg%의 아스코르브산이 있다.